민영주택 국민주택 차이점은? (종류, 특징 정리)

주택청약에 대해서 알아보다 보면 민영주택, 국민주택, 공공주택 이렇게 3가지 주택유형으로 나뉘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일반인들 입장에서는 유형들이 도대체 무슨 차이가 있는 것인지 혼란스럽게 느껴지곤 한다.

 

여기서 공공주택의 경우는 국민주택의 하위개념에 해당하기 때문에, 이번 글에서는 주택유형의 가장 큰 분류인 '민영주택' '국민주택'의 차이점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도록 하자.

 

 

민영주택 국민주택 차이점

한국민속대백과사전에 따르면 '국민주택은 공공의 복리가 목적이므로 무주택자를 대상으로 하고, 민영주택은 주택 소유여부와 관계없이 청약할 수 있게 한 것'이 이 둘의 주된 차이라고 한다.

 

해당 내용을 보았을 때, 국민주택의 경우가 국민들의 주택난을 해결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형태를 띠고 있다고 이해할 수 있고, 민영주택의 경우는 주택난을 해결하는 것보다는 조금 더 자본주의(?)적인 색채를 띄고 있다.

 

그렇다면 위의 대백과사전에 나온 정의가 현실에서도 잘 반영이 되는 지, 민영주택과 국민주택의 각각의 특징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자.

 

 

국민주택 특징

우선 국민주택의 경우는 정부, 지방자치단체,  LH한국토지주택공사, 지방공기업과 같이 국가와 관련된 기관에서 주택도시기금 등을 지원받아서 만드는 85m2 이하의 주택을 말한다.

 

여기서 주택도시기금의 경우는 우리들이 청약으로 넣어놓은 예금을 기반으로 운용되는 자금이기도 한데, 그 규모가 상당히 크고 국민들의 주택난을 해결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민간주택에 비해 분양가가 비교적 저렴한 편이다.

 

하지만 민간주택에 비해 청약조건이 보다 까다롭다는 특징이 존재하기 때문에, 국민주택에 청약신청을 하기 위해서는 자격조건에 대해서 꼼꼼하게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참고로 수도권의 경우는 국민주택 기준이 85m2 이하이지만, 지방의 경우는 100m2 까지도 가능하다고 한다. (1m2 = 약 3.3평)

 

 

민영주택 특징

민영주택과 국민주택의 가장 큰 차이점은 아파트를 건설하는 주체가 '국가'이냐, '기업'이냐의 차이이다. 모든 민영주택은 민간기업에서 건설하는 아파트이며, 대표적인 예시로 래미안, 자이, 푸르지오, 롯데캐슬 등이 있다.

 

하지만 민영주택의 경우는 국민들의 주택난을 해결하는 것이 주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아파트 평수에 제한이 없으며, 분양가 또한 국민주택에 비해 높은 편이라서 부담이 되는 편이다.

 

하지만 분양가도 높고 민간기업에서 건설하는 만큼 조경이나 커뮤니티 시설이 잘 구성되어 있고, 전체적인 디테일 면에서 국민주택에 비해 조금 더 퀄리티가 높은 편이다.

 

 

국민주택 민영주택 종류

국민주택 종류

  • 주공 아파트
  • LH아파트
  • 뜨란채
  • 휴먼시아
  • 천년나무
  • 안단테

 

민영주택 종류

  • 래미안(삼성물산)
  • 힐스테이트(현대건설)
  • 자이(지에스건설)
  • 더샵(포스코건설)
  • 푸르지오(대우건설)
  • 롯데캐슬(롯데건설)
  • 아이파크(현대산업개발)
  • SK뷰(에스케이건설)
  • 꿈에그린(한화건설)
  • 베르디움(호반건설)
  • 데시앙(태영건설)
  • 하늘채(코오롱건설)
  • 더휴(한신공영)
  • 풍경채(제일건설)
  • 중흥 S-클래스(중흥건설)

 

 

함께 읽으면 좋은 글